유교문화
조선의 가례
조선의 교육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디지털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가옥
스토리테마파크
목판 아카이브
만인소
편액아카이브
선인의 일상생활,일기
기록유산의 총아,고도서
옛 일상 속 인간관계,고문서
시간별
공간별
주제별
서명별
저자별
통합검색
전체 (46)
서지(0)
해제(1)
권차(1)
기사(44)
멀티필터
선택한 속성
가세잡기 고성종유록(家世雜記 高城從遊錄)
서명
가세잡기(家世雜記) (46)
권차명
가세잡기 고성종유록(家世雜記 高城從遊錄) (46)
저자
미상(未詳) (45)
주제분류
기행일기 (45)
작성세기
18세기 (1)
왕대명
정조(正祖) (44)
작성년
1795 (44)
작성월
08 (1)
10 (20)
11 (22)
12 (1)
작성일
더보기 +
01 (2)
02 (1)
03 (1)
04 (2)
05 (2)
인물
더보기 +
강만영(姜萬英) (1)
권송화(權松禾) (1)
박광복(朴生光復) (1)
양봉래(楊蓬萊) (1)
어유붕(魚有鵬) (1)
지역
강원도 (29)
경상도 (9)
서울시 (3)
충청도 (2)
>
통합검색
>
전체
"
전체
"에 대해 총
46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전체삭제
가세잡기 고성종유록(家世雜記 高城從遊錄)
해제 (1)
1
가세잡기 고성종유록(家世雜記 高城從遊錄)
본 여행일기는 『가세잡기(家世雜記)』의 두 번째 수록된 기록으로, 을묘년(乙卯年, 1795) 호곡(壺谷) 류범휴(柳範休, 1744~1823)가 고성군수에 제수되어 부임한 시기에 류범휴의 아우 되는 사람에 의해 작성되었다. 10월 11
이미지
권차 (1)
번호
권차명
저자
작성시기
주제
연결정보
다운로드
1
가세잡기 고성종유록(家世雜記 高城從遊錄)
미상(未詳)
1797 ~ 1798
기행일기
권차/해제
이미지
PDF
기사 (44)
더보기+
1
八月初五日 / 가세잡기(家世雜記)
官隸負▲祭馱 而來。千里絶域。無人在傍。●●(之人)極爲憫塞。 同月念日。▲家 仲發往。
이미지
2
十月初四日 / 가세잡기(家世雜記)
率內行夫馬還稅。以十一日擇吉奉 ▲廟宇及內行治發。千里行役之餘。▲仲氏不得更發。▲從 兄主兄弟俱以衰病不得陪往。燁姪方在京。他無可去者。吾 有兒病難於遠離。而不得已率兩姪及朴生光復陪行。 轎馬二匹出貰於府中。卜馬五匹。出貰於各處。合官馬 二匹。合九匹。晩後離發
이미지
3
(十月)十二日 / 가세잡기(家世雜記)
晴。晩後發行。宿雍(瓮)泉三十里。奉▲廟之道不便。奉于 別舍。宿于別處。甚爲不安。故每擇長房奉于上間。隔 帳宿于下間。
이미지
4
(十月)十三日 / 가세잡기(家世雜記)
晴。曉發踰豆(杜)舞嶺。姜萬英諸子發負出軍 踰嶺可佳。午䬴榮川六十里。暮抵水鐵橋四十里。暮後豊縣馬生 病。盡夜治之無效。不得已煎饋正氣散。得蘇。
이미지
5
(十月)十四日 / 가세잡기(家世雜記)
陰。病馬雖差。而牽去重難。求貰不得。不得已步一好空馬 牽去。踰竹嶺。欲出轎軍。人心極惡。村氓盡爲逃避。不得已 使官卒擔踰。風雪甚緊。不得如意作行。午䬴長林三十里。雨勢小歇。暮宿幾浦三十里。新婦轎眩非常。迨不 可作行。
이미지